본문 바로가기
힐링오삼 건강글밭

어린 아이들의 수전증(손떨림)은 부모의 세심함이 필요 합니다.

by healingosam 2025. 3. 11.
반응형

수전증은 완치 보다 완화의 노력이 꾸준히  요구되는 증상.

무심함으로  둘째 아이가 열살쯤에 두 손이 미세하게 떨림을 감지하고,수전증 증상이 있음을 알게 되었지요.양방,한방으로 많은 내원을 했지만,두 손등위에 올려 놓은 연필은 아직도 십수년째 미세한 진동을 하고 있습니다.수전증은 호전은 있지만 완치는 없는 것 같습니다.생활에 큰 불편은 없지만,피아노 연주하는 아이를 볼 적마다 늘 미안한 마음이 가득 하답니다.아이의 건강은 작은 관심에서 시작하는 사랑의 힘으로 시작되는 것 같습니다.

목차

  1. 수전증이란 무엇인가?
  2. 수전증의 발생 원인
  3. 수전증의 증상.3-1) 손떨림의 종류.3-2) 손떨림의 특징
  4. 수전증이 잘 발생하는 사람과 부위
  5. 수전증의 완치 가능성 및 노력
  6. 수전증의 자가진단법
  7. 수전증의 민간요법
  8. 수전증의 치료법
  9. 수전증의 예방법
  10. 수전증 관련 궁금한점(Q&A)

 

1. 수전증이란 무엇인가?

수전증(Essential Tremor)은 손이나 손가락이 떨리는 증상을 말합니다. 특정 질환이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,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. 손을 움직일 때 떨림이 두드러지며, 심리적 긴장 상태에서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.

2. 수전증의 발생 원인

수전증의 원인은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.

  • 특발성 수전증(Essential Tremor): 원인이 명확하지 않으며 유전적인 경우가 많습니다.
  • 신경계 질환: 파킨슨병(Parkinson's Disease), 다발성 경화증(Multiple Sclerosis) 등 중추신경계 질환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
  • 대사 문제: 갑상선기능항진증(Hyperthyroidism) 등으로 인해 손떨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• 약물 부작용: 일부 항우울제, 기관지확장제 등 특정 약물이 손떨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  • 심리적 요인: 불안, 스트레스, 긴장 상태에서 손떨림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.
  • 카페인 과다 섭취: 커피, 에너지 드링크 등 카페인 섭취가 과다할 경우 손떨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3. 수전증의 증상

3-1) 손떨림의 종류

안정 시 떨림(Rest Tremor): 손을 움직이지 않을 때 발생하는 떨림. 파킨슨병에서 흔히 나타남.
자세성 떨림(Postural Tremor): 특정 자세를 유지할 때 발생하는 떨림.
운동성 떨림(Action Tremor): 손을 움직일 때 발생하는 떨림.
의도성 떨림(Intentional Tremor): 특정 목표물을 향해 손을 움직일 때 발생하는 떨림.

3-2) 손떨림의 특징

  • 손떨림이 일정한 리듬으로 반복됨.
  • 손가락, 손목, 팔의 떨림이 가장 흔함.
  • 떨림이 심해지면 일상생활에서 물건을 잡거나 글씨를 쓰기 어려움.
  • 긴장하거나 피로할 때 증상이 악화됨.
  • 증상이 일시적으로 완화되었다가 다시 나타나는 경우가 많음.
  • 알코올 섭취 시 일시적으로 증상이 완화되기도 함.

4. 수전증이 잘 발생하는 사람과 부위

  • 가족력: 부모나 형제가 수전증이 있는 경우 발생 위험이 높음.
  • 나이: 40세 이후 중년층에서 발병 위험이 높음.
  • 스트레스가 많은 직업: 손의 정밀한 움직임이 필요한 직업군에서 흔히 발생함.
  • 영향받는 신체 부위: 주로 손과 손가락에서 발생하지만, 경우에 따라 머리, 목, 목소리, 다리에서도 발생할 수 있음.

5. 수전증 발견 시 완치 가능성 및 노력

  • 완치 가능성: 특발성 수전증은 완치가 어렵지만 증상 완화는 가능합니다.
  • 완화 노력:
    • 증상이 심할 경우 약물치료 및 보톡스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긴장 완화, 규칙적인 생활, 수면 습관 개선 등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.
    • 카페인 섭취 줄이기, 금주 등이 필요합니다.

6. 수전증의 자가진단법

  • 손을 편 상태에서 가만히 두었을 때 떨림이 발생하는지 확인합니다.
  • 컵을 잡거나 글씨를 쓸 때 떨림이 발생하는지 관찰합니다.
  • 스트레스 상황에서 떨림이 심해지는지 확인합니다.
  • 양손을 동시에 관찰하여 떨림의 강도와 빈도를 비교합니다.
  • 떨림이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합니다.

7. 수전증의 민간요법

  • 카모마일 차: 진정 효과가 있어 손떨림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
  • 마그네슘 섭취: 신경 안정 작용이 있어 손떨림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.
  • 심호흡 및 명상: 스트레스를 줄여 증상을 완화시킵니다.

8. 수전증의 치료법

약물 치료: 베타 차단제(프로프라놀롤), 항경련제(프리미돈) 사용.
보톡스 주사: 손의 특정 근육에 보톡스를 주입해 떨림 완화.
심부 뇌 자극술(DBS): 뇌의 특정 부위를 전기 자극해 증상 완화.
물리치료: 손의 근육 강화 및 미세한 조정 능력 향상.

9. 수전증의 예방법

  • 스트레스를 줄이는 생활습관 유지.
  • 카페인, 술, 흡연 줄이기.
  • 규칙적인 운동 및 스트레칭 실시.
  • 충분한 수면과 규칙적인 식사 습관 유지.

10. 수전증 관련 궁금해요.

Q1. 수전증은 완치가 가능한가요?
A.완치는 어렵지만 증상 완화는 가능합니다.

Q2. 파킨슨병과 수전증의 차이는 무엇인가요?
A.파킨슨병은 안정 시 떨림이 특징이고, 수전증은 움직일 때 떨림이 발생합니다.

Q3. 수전증이 심하면 수술이 필요한가요?
A.약물치료로 효과가 없을 경우 심부 뇌 자극술(DBS)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.

Q4. 수전증은 유전되나요?
A.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.

Q5. 수전증이 발생하면 병원에 가야 하나요?
A.일상생활에 불편함이 크다면 신경과 진료가 필요합니다.

반응형